본문 바로가기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알림마당

플라스틱 소식

  • 알림마당
  • 플라스틱 소식

삼양사 "썩는 플라스틱" 개발

관리자 등록일 : 2021-07-09


삼양사는 세계 최초로 석유에서 유래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단점을 개선한 이소소르비드 기반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이소소르비드는 옥수수 등 식물 자원에서 추출한 전분을 화학적으로 가공해 만든 바이오 소재로, 플라스틱을 비롯해 도료·접착제 등을 생산할 때 기존 화학 소재를 대체해 쓰인다.이소소르비드 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바이오 소재인 이소소르비드를 함유해 석유 유래 소재보다 탄소 중립적이며 토양에서의 자연 분해 속도도 빠르다. 또 석유 소재보다 강하고 질겨 필름 형태로 가공할 때 더욱 얇게 만들 수 있어 플라스틱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주로 일회용 봉투와 농업용 멀칭 필름(잡초·수분 관리를 위해 토양 표면을 덮는데 쓰이는 필름), 어망 등의 생산에 쓰인다.

식품과 화학 기술의 융합으로 필름 형태 가공에 적합한 컴파운드도 함께 개발했다.

보통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필름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선 열가소성 전분 등을 컴파운딩(혼합)해야 하는데, 식물 유래 소재인 열가소성 전분의 함량이 높아지면 친환경적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인장 강도가 떨어져 필름 형태로 가공하기 어렵다.

삼양사는 전분 사업과 화학 소재 컴파운드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으로, 2년에 걸친 기술 융합을 통해 최적의 열가소성 전분과 컴파운딩 기술을 함께 개발했다.

삼양사 관계자는 "그룹 내 기술 융합을 통해 이소소르비드를 개발한데 이어 이를 활용한 친환경 플라스틱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며 "바이오매스 기반의 이소소르비드 활용 범위를 넓혀 탄소 저감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