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알림마당

플라스틱 소식

  • 알림마당
  • 플라스틱 소식

롯데케미칼,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개발 나선다

관리자 등록일 : 2022-02-14

롯데케미칼이 윤성호 중앙대학교 교수와 함께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인 PHA 생산 기술 개발에 나선다. 사진은 PHA 모습. /사진=롯데케미칼 제공

롯데케미칼이 윤성호 중앙대학교 교수와 함께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인 PHA 생산 기술 개발에 나선다. 사진은 PHA 모습. /사진=롯데케미칼 제공

롯데케미칼이 석유화학 기반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기술 개발에 나선다. 롯데케미칼은 연평균 성장률이 14%로 추정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시장을 선점하고자 한다.

롯데케미칼은 윤성호 중앙대학교 교수와 함께 석유화학 기반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인 PHA 생산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PHA는 포장재, 의료용 제품, 화장품 용기 등에 적용 가능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다. 일반 플라스틱 소재보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저감 효과가 우수하고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등 친환경 고부가 소재로 평가받는다.

PHA는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타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보다 일반 자연 및 해양 조건에서 생분해성이 우수하다.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과 해양 오염 문제가 주목받으면서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는 제품이다.

롯데케미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서강대학교 C1 가스 리파이너리 사업단의 지원으로 수행된 윤성호 중앙대 교수의 자체 개발 촉매 기술을 활용하고 공동연구를 진행해 다음해까지 석유화학 기반의 PHA 생산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제품 용도 개발도 함께 추진한다.

현재 PHA는 미생물 원료를 활용해 생산된다. 미생물을 배양한 후 발효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돼 원료 수급이 어렵고 생산규모도 작다. 제품가격도 비싸 가격경쟁력이 낮은 편이다. 석유화학 기반의 제조 공정이 상업화되면 상대적으로 수급이 용이한 화학·바이오매스 원료를 사용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대규모 제품 양산도 가능하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롯데케미칼의 공정 개발 역량과 윤성호 교수의 기술 노하우를 접목해 PHA 상업 생산을 실현하겠다”며 “적극적인 연구 투자를 통해 고객 수요에 맞춘 친환경 소재 확대 및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는 매년 세계적으로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요량은 2020년 약 97만 톤에서 오는 2026년에는 약 200만 톤에 달한다. 성장률은 연 평균 14%로 예상된다.

롯데케미칼은 롯데그룹 화학군이 지난해 2월 발표한 ESG 경영전략 ‘그린 프로미스 2030’에 따라 친환경·리사이클 소재 확대 및 탄소중립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분야별 최적의 국내·외 우수대학, 연구기관, 기업과 연계한 오픈이노베이션 연구 활동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에는 청정수소 생산·운송 및 친환경 납사 생산 등 기술 확보를 위해 KAIST(한국과학기술원)와 손잡고 ‘탄소중립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출처:
롯데케미칼,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 개발 나선다 - 머니S (mt.co.kr)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