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Search
Navi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 찾기
Close
알림마당
공지사항
조합(원)소식
플라스틱 소식
포토갤러리
보고서
법령 정보
자유게시판
사업안내
공동구·판매
제품품질인증
시험원소개
단체표준제정
단제표준인증
인력양성 및 교육
해외시장개척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직접생산 확인제도
조합추천 수의계약
지명경쟁 입찰
공통기술개발
소기업 공동사업제품 우선구매제도
적격조합 인증
시험검사
한국플라스틱환경시험연구원
연구원 소개
품질방침
공평성 선언
절차 및 품목
시험접수 진행 절차
고객 문의
시험품목
성적서 진위확인
연구원자료실
조합원 정보
조합원 현황
조합원 제품정보
조합가입 안내
플라스틱산업
정의 및 특성
생산현황
수출입통계
조합 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 및 구성
임원현황
연구조합
사업목표
조직도 및 담당업무
오시는 길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글로벌 메뉴 영역
알림마당
공지사항
조합(원)소식
플라스틱 소식
포토갤러리
보고서
법령 정보
자유게시판
사업안내
공동구·판매
제품품질인증
시험원소개
단체표준제정
단제표준인증
인력양성 및 교육
해외시장개척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직접생산 확인제도
조합추천 수의계약
지명경쟁 입찰
공통기술개발
소기업 공동사업제품 우선구매제도
적격조합 인증
시험검사
한국플라스틱
환경시험연구원
연구원 소개
품질방침
공평성 선언
절차 및 품목
시험접수 진행 절차
고객 문의
시험품목
성적서 진위확인
연구원자료실
조합원 정보
조합원 현황
조합원 제품정보
조합가입 안내
플라스틱산업
정의 및 특성
생산현황
수출입통계
조합 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및 연혁
조직 및 구성
임원현황
연구조합
사업목표
조직도 및 담당업무
오시는 길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 찾기
Search
Navi
통합검색
검색
검색
알림마당
알림마당
공지사항
조합(원)소식
플라스틱 소식
포토갤러리
보고서
법령정보
자유게시판
플라스틱 소식
홈
알림마당
플라스틱 소식
printer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 합리화를 위한 연구」 결과발표회 개최
관리자
등록일 : 2020-11-23
보도303-플라스틱 폐기물부담금, 합성수지 대기업이 먼저 부담해야.hwp
플라스틱 폐기물부담금, 합성수지 대기업이 먼저 부담해야 -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 합리화를 위한 연구」 결과발표회 개최-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와 미래지식사회연구회(회장 강태진)는 23일(월)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 합리화를 위한 연구 결과 발표회’를 개최하고, 폐기물부담금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ㅇ 이날 간담회는 중기중앙회와 미래지식사회연구회가 올해 5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 합리화를 위한 연구」
결과를 기업과 공유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코자 마련됐다.
□ 먼저 구민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의 연구 결과발표에서는 현재 플라스틱 폐기물부담금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질의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ㅇ 구민교 교수는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체인 중소기업이 폐기물 부담금을 부담하고,
대기업인 합성수지 제조업체는 부과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며, “플라스틱 제조기업의 99%가 중소기업이고,
70% 이상이 납품거래를 하는 만큼 가격설정자의 지위를 갖는 소수의 원료 대기업이 부담금을 부과하는 것이 행정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 연구 책임자인 강태진 미래지식사회연구회 회장(서울대 재료공학부 명예교수)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두되고 있는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폐플라스틱의 환경 연료화’가 최상의 대안”이라며,
ㅇ “유럽의 시멘트 산업은 폐타이어, 폐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대체연료의 사용이 활성화되어있고, 특히, 독일의 경우, 연료 대체율은 68%로,
국내 23%에 비해 3배 가까이 높다”며, “국내도 대체연료 생산에 적극 투자하여 폐플라스틱의 환경 연료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서승원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은 “폐플라스틱 문제 해결과 동시에 중소플라스틱 제조업계의 성장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폐기물부담금 제도 개선은 필수적이며,
「부담금관리기본법」 상 부담금 존속기한이 10년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ㅇ “오염원인자를 플라스틱 제품 제조·수입업자인 중소기업으로 한정하기보다, 공동책임의 원칙에 따라, 원료사인 대기업이 부담금을 먼저 부담하고, 이를 제품가격에 반영하는 상생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전글
코로나로 넘쳐나는 폐플라스틱, 연료로 쓰는...
다음글
롯데케미칼, "국내 최초 FDA 인증" 재...
목록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