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등록일 : 2022-01-26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공고문 제2022-11호
「2022년 중소환경기업 사업화·상용화 지원사업」 추진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사업화·상용화 자금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붙임자료를 참고하시어 2022. 2. 18.(금) 18:00까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①청정대기, ②자원순환(탈 플라스틱 포함), ③스마트 물, ④기후대응, ⑤일반 환경 등 환경 全분야
분야 | 세부 분야 | 주요 사업화 내용(예시) |
청정대기 | 측정·감시 | IoT 기반 대기환경 측정 및 배출시설 관리 시스템, 인공지능 대기질 예측 시스템, 실시간 실내·외 대기질 측정장치, 사업장 배출 대기오염물질 측정장치, 이동오염원 대기오염물질 측정장치 등 |
산업 분야 배출 저감 | 대?중형사업장 배출 대기오염물질 스마트 집진설비, 복합오염물질 처리용 촉매 필터, 비산배출 유해대기오염물질 회수?처리장치, 소규모 사업장 VOCs 회수?처리장치 등 | |
수송 분야 배출 저감 | 자동차, 농기계, 건설기계, 선박 등의 오염물질 배출 후처리장치 등 | |
실내 공기정화 | 지능형 공기정화 시스템, 다중이용시설 및 지하공간 스마트 공기정화시스템, 가정용 공기청정기, 실내오염물질 다중복합 흡착필터 등 | |
실외 공기정화 | IoT 기반 버스정류장, 터널 및 도심 밀집지역 공기정화시스템 등 | |
자원순환 | 폐기물 저감 | IoT기반 폐기물 처리(선별, 소각, 감량화, 고형화, 압축, 용융 등) 시스템, 지능형 폐기물 관리 시스템 등 |
유용자원 전환 | 폐기물 중 유용물질 회수, 전처리, 재생, 재활용, 원료화 및 제재조 등 | |
탈 플라스틱 | 폐플라스틱 재가공·재사용, 화학적 재활용 및 친환경 플라스틱(바이오 플라스틱 등) 생산 | |
스마트 물 | 정수 및 하?폐수 고도처리 | 지능형 상·하수도 운영·관리, 정수장 미량 및 신종오염물질 제거, 하폐수 고도처리 등 |
수질 관리 | ICT기반 하천 오염 감시, 수질 예측, 녹조 제어 관리 등 | |
지능형 물 관리 및 재이용 | 스마트 워터 시티, 스마트 워터 그리드 등 ICT 기반 스마트 물관리, 해수담수화, 하수처리수 재이용 등 | |
토양·지하수 | 오염 토양 정화·복원, ICT 기반 지하수 오염분석 및 원인자별 정화, 지하수질 관리 등 | |
기후대응 | 기후변화 분석·평가 |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용 |
탄소 포집, 저장, 이용(CCUS) | 에너지 다소비 산업 분야의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및 활용 | |
Non-CO2 온실가스 저감 | Non-CO2 온실가스(N2O, CH4, F-Gas) 포집, 정제, 활용 및 분해처리 | |
탄소흡수 | 산림, 갯벌, 습지, 생태공원 등 생태 기반 탄소흡수 기능 강화 | |
에너지 전환 | (폐기물에너지) 고열량의 가연성폐기물의 연료화(기체, 액체, 고체) 및 에너지화 (수열에너지) 물과 대기 중 온도차를 이용한 수열에너지 활용 건물 냉·난방, 농가 열원 공급 등 (바이오에너지) 유기성폐기물, 폐목재 등 생물 유래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디젤, 바이오오일,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부탄올 등 생산 (기타) 수소, 암모니아 및 바이오가스의 포집ㆍ운반ㆍ공급ㆍ이용 | |
저탄소 공정·제품 |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소재, 공정, 제품 ※ 환경기술에 한함 | |
일반환경 | 생태계 복원 | 육상, 하천, 습지, 도시생태계 등 생태계 복원, 스마트 기술 기반 생태계 관리 및 서비스 활용 |
생물자원 활용 | 생물자원을 활용한 유용 소재 발굴·생산·제품화 | |
소음·진동 관리 | 소음·진동 방지·저감, 차음·방진 성능 향상 등 | |
생활환경 유해인자 관리 | 빛공해, 유해화학물질, 환경유해인자 등 생활환경 유해인자 저감 및 위해성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