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알림마당

공지사항

  • 알림마당
  • 공지사항

2022년 폴리에틸렌 등 할당관세·조정관세 적용 물품 및 세율 확정

관리자 등록일 : 2022-01-03


산업부, 2022년 할당관세 적용품목 62개 발표

공급망 대응?탄소중립?신산업 지원 등 역대 최다 품목 지원 -

① (신규 적용 공급망 대응 마그네슘탄소중립 지원 바이오 납사 등 7

② (계속 적용 반도체자동차 분야 석영유리기판팔라듐?로듐 등 55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공급망 대응과 탄소중립·신산업 지원 등을 위해 22년 1월 1일 부터 산업부 소관 62개 품목에 대한 할당관세*를 지원한다고 발표함



할당관세(관세법 제71) (대상)산업경쟁력 강화수입가격 급등으로 인한 가격 안정 등이 필요한 산업용 원부자재,
(기간)매년 1년간(내용)기본세율(38%)보다 낮은 세율(04%) 적용



 산업부 소관 할당관세 품목은 지난해 55개 계속 품목에서 올해 공급망 대응탄소중립 핵심 소재 등 7개 신규 품목이 확대된 총 62개 품목이며 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적용



다만LNG는 난방용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는 동절기*,공업용 요소의 경우에는 21.11.12일부터 22.6.30일까지 할당관세 지원

22.10.1.~22.12.31.(21.11.12.22.4.30. 할당관세(0%) 旣 적용 중)


□ 할당관세 적용물품을 수입하는 기업은 한계수량이 없는 물품의 경우 유니패스(관세청 온라인시스템) 수입신고서 서식의 세율구분을 P3(수입전량 추천) 세율 기재하여 수입신고


ㅇ 수입수량 제한*이 있는 품목의 경우에는 추천기관으로부터 할당관세 추천서를 발급받아 유니패스 수입신고서 서식의 세율구분을 P1(한계수량) 세율로 기재한 후 수입요건확인란에 추천번호를 입력하여 수입신고하면 관세혜택을 받을 수 있음

국내생산자 보호를 위해 특정물품의 국내소비량 중 국내생산량을 초과하는 물량을 설정하여 운용

수입수량 제한품목 및 추천기관 >


수입수량 제한품목

관세율(기본 → 할당, %)

추천기관

나프타제조용원유

30.5

대한석유협회

폴리에틸렌

80
한국플라스틱산업협동조합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생사

3/80

한국생사수출입조합대한직물공업협동조합연합회

구리박

80

한국전지산업협회

 
□ 산업부 소관 62개 품목의 주요 분야별 내용은 다음과 같음


(공급망공급망 안정 뒷받침하기 위한 25개 품목 할당관세 지원


수출규제 100대 품목 등과 연관된 폴리머배합용원료알루미늄 합금에 필수적인 마그네슘 등 공급망 안정화에 필요한 25개 품목*


폴리머배합용원료(불화폴리이미드 원료), XDA, 수소차(이온교환막 등 2)이차전지·섬유(분리막 등 7), 철강(마그네슘 등 4)화학(공업용 요소 등 3)이차전지(황산코발트·인조흑연 등 7)


? (탄소중립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6개 품목 무관세 적용


(납사대체) 저탄소 산업구조 전환을 위해 친환경 바이오납사 도입

(내연차)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촉매의 주원료 팔라듐·로듐?백금

(희소금속) 이차전지·태양광 발전 등 탄소중립 산업의 필수 소재인 희소금속 회수를 위한 주요 원재료 귀금속 잔재물PCB



? (산업지원이차전지 등 신산업주력산업 지원을 위한 31개 품목 지원

(신산업수소연료전지이차전지 분야 등 소재·설비 13개 품목

(주력산업) 섬유철강화학 분야 등 소재·원재료 14개 품목

(에너지) 납사·LPG제조용 원유천연가스, LPG 등 4개 품목


 산업부는 금번 할당관세 지원을 통해 산업계 경영부담 완화하고공급망 대응?탄소중립 지원과 신산업·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이 기대된다고 밝힘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