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BIZ한국플라스틱제조업협동조합

알림마당

플라스틱 소식

  • 알림마당
  • 플라스틱 소식

생분해 플라스틱이라는데…소각되는 것도 많다

관리자 등록일 : 2021-09-15

추적, 플라스틱 쓰레기

서울에 사는 직장인 김모(35)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했다는 기사를 접한 뒤 친환경 제품에 관심을 갖게 됐다. 올 들어 ‘생분해’나 ‘친환경’ 문구가 적힌 제품을 골라 쓰는 게 습관이 됐다. 비닐 봉투가 필요할 때도 검은색 일반 봉투 대신 생분해 제품을 들고 다니며 쓴다.

이른바 친환경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일반 플라스틱 대신 바이오 플라스틱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상점이나 카페에서도 이들을 겨냥한 ‘친환경’ 비닐봉지나 음료 컵 등을 제공한다. 녹색연합이 지난해 10~11월 시민 137명에게 물었더니 70%가 생분해 플라스틱을 이용해본 적 있다고 답했다.

다만 이러한 제품은 막 기지개를 켜는 수준이다. 2019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약 4만t 규모다. 전체 플라스틱 시장의 0.5%를 차지한다.

시민 70% "생분해 플라스틱 써본 적 있다”

CJ제일제당이 생분해 플라스틱인 PHA로 만든 빨대, 음료 용기 등의 제품들. 내년부터 PHA를 본격적으로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CJ제일제당이 생분해 플라스틱인 PHA로 만든 빨대, 음료 용기 등의 제품들. 내년부터 PHA를 본격적으로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바이오 플라스틱은 재생 가능한 원료로 제조하는 플라스틱 전반을 말한다. 바이오매스(식물이나 유기성 폐자원 등의 원료)에서 유래한 ‘바이오 기반’과 짧은 기간 미생물로 완전히 분해되는 ‘생분해’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친환경’ 플라스틱은 생분해 제품이 많은 편이다.

생분해 플라스틱은 천연물 계통인 PHA·PLA 등과 석유 계통인 PBAT·PCL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옥수수·사탕수수 등을 활용한 PLA 소재는 빨대와 칫솔 등 생활 제품에 흔히 쓰이는 편이다. 그러나 같은 생분해라도 탄생 과정은 완전히 다르다. 어떤 건 옥수수 같은 식물로 만들어진 반면, 석유 기반으로 제조한 것도 있다.

하지만 일상에선 뭉뚱그려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부른다. 잘 썩는다고 생각해 폐기물 처리법도 크게 구분하지 않는다. 생분해 제품을 원칙대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면 대개는 분해 대신 소각 또는 매립된다. 반대로 일반 플라스틱처럼 분리 배출하면 다른 플라스틱 제품의 재활용을 방해한다.

사용 원료 등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분류.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사용 원료 등에 따른 바이오 플라스틱 분류.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많은 이들이 여전히 바이오·생분해 플라스틱의 관계를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단순히 ‘분해 되냐 안 되냐’, ‘썩냐 안 썩냐’ 같은 이분법적 함정에 빠지면 안 된다”고 말했다.

국내 산업계는 생분해 플라스틱의 미래에 크게 주목하고 있다. 기업들이 속속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에 뛰어들면서 해외 수출,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규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글로벌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규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CJ제일제당은 미생물을 활용해 최대 4년이면 분해되는 PHA 플라스틱을 시험 생산 중이다. 빨대, 비닐 봉투, 포장재부터 시작해 자동차 내장재 등으로 사용처를 늘려간다는 구상이다. 올 연말까지 인도네시아에 PHA 전용 생산 라인을 완공한 뒤, 내년 초 본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PHA를 양산할 수 있는 회사가 우리를 포함해 일본, 미국 등 세 곳에 불과하다 ”며 “세계 각국에서 석유 플라스틱에 대한 규제가 늘고 소비자의 친환경 경각심도 올라가면서 시장 전망을 밝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생분해성 수지 제품 인증 추이.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생분해성 수지 제품 인증 추이.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LG화학은 옥수수 성분 등을 활용한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 내년부터 시제품을 만들어 2025년부터는 본격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SK케미칼도 고유연 생분해성 PLA 플라스틱의 상업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기업들은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생분해 플라스틱 지원에 나서길 바란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선 소비자 인식, 기업 움직임, 정책 변화 등이 전 세계 트렌드를 늦게 따라가는 느낌”이라면서 “글로벌 시장으로 나가려면 정부 부처 간 정책 공조가 잘 돼야 한다. 또한 정부가 적어도 생분해 수지 사용·폐기 가이드라인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생분해 소재 쓴다고 일회용기 늘려선 안돼

반면 환경단체들은 생분해 플라스틱도 일종의 ‘그린 워싱’(친환경적이지 않은데 친환경적인 것처럼 홍보하는 행태)이라며 평가 절하한다. 예를 들어 PLA 플라스틱은 60도 안팎 온도에서 6개월 이내에 90% 이상 분해돼야 하는데, 이를 맞추기 쉽지 않으니 잘 썩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생분해 제품을 쓰면 일회용품 규제에서 제외된다’고 강조하는 제조사들이 플라스틱 사용을 되레 조장할 수 있다는 걱정도 한다.

허승은 녹색연합 녹색사회팀장은 “탄소 발생량 등을 따져 생분해 소재를 일부 쓸 수 있다. 하지만 산업적 전환이나 생활 방식의 변화 없이 생분해가 플라스틱 문제 해결 1순위가 되는 건 경계해야 한다”면서 “플라스틱 생산 자체를 줄이고 다회용기를 쓰는 게 궁극적 대안”이라고 말했다.

홍수열 소장은 “생분해 플라스틱은 어구, 농업용 비닐 등 쓰레기 투기가 잘 일어나는 영역에 우선 보급하는 반면, 재활용이 가능한 분야는 재활용되는 소재를 권장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 생분해 소재를 단순히 일회용 위주로 쓰는 건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생분해 플라스틱이라는데…소각되는 것도 많다 | 중앙일보 (joongang.co.kr)

페이지 맨 위로 이동